함백산 ( 咸白山 )
높이 1,572.9m. 태백산맥의 줄기인 중앙산맥에 속하는 산으로 북쪽에 대덕산(大德山, 1,307m), 서쪽에 백운산(白雲山, 1,426m)과 매봉산(梅峰山, 1,268m), 서남쪽에 장산(壯山, 1,409m), 남쪽에 태백산(1,547m), 동쪽에 연화산(蓮花山, 1,171m)·백병산(白屛山, 1,259m) 등이 솟아 있다.
정암사(淨巖寺) 부근에서 서북쪽으로 흐르는 수계는 사북읍에서 동남천(東南川)이 되어 북서쪽으로 흐르면서 낙동리에서 서쪽으로 유로를 변경하여 곳곳에 하안단구(河岸段丘)를 형성하며 가수리에서 남한강으로 흘러든다. 구래리 부근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수계는 남한강의 지류인 옥동천(玉洞川)의 상류를 이룬다.
남한 지역의 무연탄 생산의 중심을 이루는 지역으로서 산업철도인 황지지선(黃池支線)과 고한선(古汗線 : 현재는 태백선으로 통합)이 부설되면서 활발히 개발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동쪽 사면에는 어룡광업소를 비롯하여 대명탄광(大明炭鑛)·풍전탄광(豊田炭鑛)등이 있고, 남쪽에는 함태광산(咸太鑛山) 이 있다.
서쪽 사면의 고한읍 지역에는 사북광업소를 비롯하여 정동광업소·세원광업소·삼척탄좌·정암광업소·삼덕탄광 및 서진탄광 등이 개발되어 있다. 고한과 황지를 연결하는 태백선의 정암터널 공사는 우리 나라 철도 건설 사상 난공사 중의 하나로 손꼽히고 있으며, 추전역[杻田驛]은 남한에서 해발고도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알려져 있다.
주변 지역은 산악지대이나 자원개발을 위한 산업도로가 각 광업소와 철도역 사이에 연결되어 있고, 특히 태백시와 상동읍 사이에는 국도가 완전히 포장되어 있다. 최근에는 희망재에서 상동의 구래리까지 서쪽 계곡을 따라 도로를 신설, 포장하여 종전의 국도보다 더욱 안전하게 되었다.
서북쪽 산록에는 신라 선덕여왕 때에 자장(慈藏)이 당나라에서 사리를 가지고 귀국하여 건립한 절로 알려지고 있는 정암사가 있다. 이곳에는 보물 제410호로 지정된 정암사수마노탑(淨巖寺水瑪瑙塔)과 천연기념물 제73호로 지정된 정암사열목어서식지가 있다. 태백시 쪽 사면에는 심적사(心積寺)라는 절이 있다.
7년만 본 만항재는 엄청난 산객으로 초만원이며 주차장은 먼저 도착한 버스들로 어수선하다
아무리 눈 산행이 보고 싶어도 이건 아닌둣 싶다가도 그려려니 하고 만다
함백산 등산로는 만항재 정상에서 정암사 쪽으로 조금 내려가는 코스와 두문둥재를 향하는 2개의 산행코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차로 이미 올라온 높이가 1330m니 나머지 등산이야 초보자도 거뜬히 다녀올수 있는코스다
일반적인 산행 코스는 만항재-함백산정상-주목군락지-중함백-은대봉-두문동재로 가는 코스로
보통 4시간 정도가 걸린다.
● 산행일자 : 2016.01.10
● 산행구간 : 만항재(1,330m)-정상(1,573m)-주목군락지-중한백-적조암-정암사((하산)
● 산행거리 : 6.68Km
● 산행시간 : 3시간10분
높이 1573m의 고봉이나 도로가 1533m인 만항재까지 놓여있어서 정상까지 오르기가 쉬운 산이다.
정상에는 통신소가 있고 주목군락지가 있다.
일반적인 산행 코스는 만항재-함백산정상-주목군락지-중함백-은대봉-두문동재로 가는 코스로
보통 4시간 정도가 걸린다.
만항재에서 두문동재까지는 고원지역에는
야생화 군락지로 유명하며 참나물, 누리대, 취나물 등 산나물이 많습니다 특히 겨울산행을 하다보면 주목과 고사목에 핀, 눈꽃이나 상고대가 추위조차 잊게 만들어 줍니다
함께한
재경고흥군향우산악회
Daum 카페 산을 좋아하구 고향을 사랑하는 분이면 누구나 환영
cafe.daum.net/rhgmdtksdkrghl 회원수: 725 | 개설일: 2005.11.29
눈이 그다지 오지않아 크게 기대하지 않았지만 함백산 입구에 도착하니
날씨는 흐리고 눈도 조금씩 오기 시작합니다.
눈발을 맞으면서 정상으로 올라가는데 많은 사람들이 정상을 향해 올라가고
있읍니다
등산로는 완만한 능선길로 계속 이어진다. 30분쯤 더 올라가면 가파른 바윗길이 나온다. 옛날에는 길도 없었으나 지금은 잡고 올라갈 수 있는 로프를 만들어 놓았다. 이 깔딱고개를 지나면 바로 정상이 펼쳐진다 만항재에서는 1시간 정도 예상하면 된다
길을 따라 오르니 함백산 정상이 보이는 언덕에 도착
언덕에는 '함백산 기원단'이 세워져 있었는데 ...
예로부터 이곳은 함백산 민간 신앙의 성지여서 광산을 개발한 시기에는 이 곳에서 광부 가족들의 무사 안녕을 빌었다고 합니다
저도 우리 가족의 안녕을 빌며 마음편히 함백산 정상으로 발에 힘을 실어봅니다
조릿대와 나무들에도 눈이 있습니다
도로엔 옅은 눈이 얼어붙어 조심을 요구합니다. 아이젠 착용해야 하는 이유
저편 산객은 어쩌려고 ......
살짝 내린 싸리눈들이 나뭇가지를 덮고 있습니다
와~ 언제 도착들 했는지 많은 사람들..
인증샷 찍느라..
얌전히 줄을 서는 사람이 있는 반면 다짜고짜 올라서서 찍겠다고 하는 사람.. ㅎㅎ
정상에 올라와 정상석과 함께 찍는 것은 하나의 기록이 될 수 있으며
힘들게 올라 온 나의 모습을 남기기 위해 찍기도 한다.
마음 속으로 정상석을 본 후 내려가는 사람도 있겠지만..
인증샷은 있어야 하고 정상석은 보기 힘들고
아무튼..
나도 줄을 서서 기다리기 보다는 한켠에서 찍기로 하고 카메라를 불쑥 건네며 찰칵~ 부탁한다.
많은 사람의 주시 속에 포즈~ 찰칵..
그나마 모두 빨리 끝나길 바라니 한 두장 더 부탁을 할 수 없어 달랑 한장 찍고
고맙다는 인사를 건네고..